[CS] 디자인 패턴 - 싱글톤 패턴
라이브러리 vs 프레임워크
: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는 특정한 기능들을 모듈화한 것
라이브러리는 폴더명, 파일명 등에 대한 규칙 없고 비교적 자유로움
프레임워크는 폴더명, 파일명 등에 대한 규칙이 있음
디자인 패턴이란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발생했던 문제점들을 객체 간의 상호 관계 등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하나의 의 규약 형태로 만들어 놓은 것을 의미
싱글톤 패턴
개념
하나의 클래스에 오직 하나의 인스턴스만 가지는 패턴

※ 인스턴스: 설계도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세계에 구현된 구체적인 실체 / 즉, 객체를 소프트웨어에 실체화 하면 그것을 ‘인스턴스’라고 부른다. 실체화된 인스턴스는 메모리에 할당된다.
장단점
하나의 인스턴스를 만들어 놓고 다른 모듈들이 공유하며 사용함
장점 : 인스턴스 생성할 때 드는 비용이 줄어듬
단점 : 의존성이 높다.
C# 싱글톤 예시 코드 (chat gpt)
using System;
public class Singleton
{
// static 인스턴스: 클래스 로드 시점에 생성됨
private static readonly Singleton instance = new Singleton();
// 외부에서 인스턴스 접근을 위한 속성
public static Singleton Instance
{
get
{
return instance;
}
}
// private 생성자: 외부에서 인스턴스 생성을 방지
private Singleton()
{
Console.WriteLine("Singleton instance created!");
}
// 예시 메서드
public void DoSomething()
{
Console.WriteLine("Doing something...");
}
}
class Program
{
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
{
// 싱글톤 인스턴스 호출
Singleton singleton1 = Singleton.Instance;
singleton1.DoSomething();
Singleton singleton2 = Singleton.Instance;
singleton2.DoSomething();
// 두 인스턴스가 동일한지 확인
Console.WriteLine(Object.ReferenceEquals(singleton1, singleton2)); // True 출력
}
}
싱글톤 패턴의 다른 단점으로는 TDD(Test Driven Development) 할 때 걸림돌이 된다는 것
=> 의존성 주입(DI) 을 통해 모듈 간의 결합을 조금 더 느슨하게 만들어 해결할 수 있다.
의존성 주입의 장단점
장점
모듈들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가 되어 테스팅하기 쉽고, 마이그레이션 하기도 수월하다. 또한 구현할 때 추상화 레이어를 넣고 이를 기반으로 구현체를 넣어 주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의존성 방향이 일관되고,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추론할 수 있으며, 모듈 간의 관계들이 좀 더 명확해짐
※ 마이그레이션 : 한 운영환경으로부터, 대개의 경우 좀 더 낫다고 여겨지는 다른 운영환경으로 옮겨가는 과정
단점
모듈들이 분리되므로 클래스 수가 늘어나 복잡성 증가, 런타임 패널티가 생기기도 한다.
※ 고차함수를 이용 시에 각 함수는 객체로 변환되어 가상 호출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추가적인 메모리 할당 또는 가상함수 호출에 의해 Runtime Overhead 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.
복습하기 (날짜 + 사진)
2024.9.6